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 나이 기준 정리

by 온라인대통령 2025. 5. 7.
728x90

건강검진 대상자 나이 기준 정리

올해 몇 살이면 건강검진 대상일까요?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는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하며, 만 나이가 아닌 ‘짝수 해 기준’ 나이 계산 방식을 따릅니다.
즉, 홀수 해(2025년)에는 짝수년도 출생자가 대상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도별로 몇 년생부터 몇 살까지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자동 계산 방식으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기준 건강검진 대상자 나이 계산 방법

건강검진은 2년에 한 번 받게 되며, 짝수 해 출생자는 홀수 해에,
홀수 해 출생자는 짝수 해에 검사받습니다.
따라서 2025년에는 짝수년도 출생자가 대상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의 경우, 1986년생, 1988년생, 1990년생... 2004년생까지가 대상입니다.
올해 연령 기준으로는 **만 20세 이상 (즉, 200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중 짝수년도 출생자)**가 해당됩니다.


연도별 대상자 기준표

출생년도 2025년 기준 나이 검진 대상 여부

1986년 39세 대상
1987년 38세 비대상
1988년 37세 대상
1989년 36세 비대상
1990년 35세 대상
1991년 34세 비대상
1992년 33세 대상
1993년 32세 비대상

대상자 확인 공식

"올해 연도(2025) - 출생연도 = 나이"
그리고 나서 출생연도가 짝수인지 확인하면 됩니다.

즉,
"출생연도 % 2 == 0"이면 올해 검진 대상입니다.
"출생연도 % 2 == 1"이면 내년 대상입니다.


예시 상황극: 민수와 예림이의 건강검진 궁금증

"나 올해 건강검진 받아야 해?"
"몇 년생이야?"
"1992년생!"
"짝수네? 그럼 대상자야. 이번에 꼭 받아~"
"그럼 1991년생은?"
"내년이야. 홀수 해는 홀수 출생연도는 비대상이지!"

이렇게 간단히 출생연도만 알면 대상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포함 항목 요약

 

구분 항목
일반건강검진 신장, 체중, 혈압 등  
암 검진 항목  위암, 대장암 등
생애전환기 검진  만 40세, 66세 대상   
 

핵심 요약: 올해 건강검진 대상이 되는 조건

  • 출생연도가 짝수년도여야 함
  • 200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여야 함
  • 주민등록상 만 20세 이상 성인이어야 함
  • 최근 1년 내 검진을 받지 않은 사람이어야 함

혼동 방지 팁

"2025년 - 출생연도 = 현재 나이"
그리고 출생연도가 짝수 → 대상
출생연도가 홀수 → 비대상

이 공식 하나면 복잡한 건강검진 조회 걱정 끝입니다.

 

728x90